양명학(陽明學), 유교사상의 또다른 흐름
1. 성리학과 다른 유교사상인 양명학 ( 陽明學 ) 양명학 ( 陽明學 ) 은 중국 명나라 학자인 왕수인이 설파한 유교사상입니다 . 양명학 ( 陽明學 ) 이란 명칭이 붙여진 것은 왕수인 ( 王守仁 ) 의 호가 양명이라는 착안하여 붙여진 것입니다 . 양명학은 주희가 설파한 성리학에 대비되는 유교사상으로서 중국 명나라 , 청나라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으며 성리학 일변도인 조선에도 상당한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양명학은 일본으로 건너가 에도막부시절과 메이지유신에 사상적 기반으로 되었습니다 . 양명학 ( 陽明學 ) 이 주희의 성리학 ( 性理學 ) 과 대비되는 차이점은 주희가 주창한 격물치지 ( 格物致知 ) 가 우주를 이루는 외부의 만물에 존재하는 근본이치를 탐구하고 이해하여 사물에 대한 완전한 지 ( 知 ) 의 상태에 이르기 위한 독서와 탐구 , 이를 이행하기 위한 끊임없는 도덕적 수행들을 통하여 완전한 지 ( 知 ) 를 이루는 성인에 이른다고 하는 반면 양명학 ( 陽明學 ) 은 인간은 외부의 사물과 관련없이 타고 나면서 누구나 도덕적 인식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심즉리 ( 心卽理 ) 를 주창하였습니다 . 사람의 마음이 바로 이치라는 의미로 사람의 마음이 우주만물 , 세상의 이치라고 하였습니다 . 이에 사람의 이치를 바르게 이해하고 인식한다면 세상의 이치를 사람의 마음이외 외부에서 찾을 필요가 없다고 하였습니다 . 이에 양명학은 양지 ( 良知 ) 를 주장하고 있습니다 . 양지 ( 良知 ) 는 인간에게 선천적으로 부여된 도덕적 본성과 이를 이해하고 판단하며 선악을 구별하고 실철하는 능력으로 사람은 타고날 때부터 누구나 양지 ( 良知 ) 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 타고난 양지 ( 良知 ) 를 제대로 보존 , 이행하고 양지를 흐리게 하는 마음속 사리사욕을 버리는 치양지를 할 때 성인의 반열에 오른다고 하였습니다 . 2. 치양지 ( 致良知 ) 와 지행합일 양명학 ( 陽明學 ) 은 사람은 선천적으로 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