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명학(陽明學), 유교사상의 또다른 흐름

1. 성리학과 다른 유교사상인 양명학 ( 陽明學 )   양명학 ( 陽明學 ) 은 중국 명나라 학자인 왕수인이 설파한 유교사상입니다 . 양명학 ( 陽明學 ) 이란 명칭이 붙여진 것은 왕수인 ( 王守仁 ) 의 호가 양명이라는 착안하여 붙여진 것입니다 . 양명학은 주희가 설파한 성리학에 대비되는 유교사상으로서 중국 명나라 , 청나라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으며 성리학 일변도인 조선에도 상당한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양명학은 일본으로 건너가 에도막부시절과 메이지유신에 사상적 기반으로 되었습니다 .  양명학 ( 陽明學 ) 이 주희의 성리학 ( 性理學 ) 과 대비되는 차이점은 주희가 주창한 격물치지 ( 格物致知 ) 가 우주를 이루는 외부의 만물에 존재하는 근본이치를 탐구하고 이해하여 사물에 대한 완전한 지 ( 知 ) 의 상태에 이르기 위한 독서와 탐구 , 이를 이행하기 위한 끊임없는 도덕적 수행들을 통하여 완전한 지 ( 知 ) 를 이루는 성인에 이른다고 하는 반면 양명학 ( 陽明學 ) 은 인간은 외부의 사물과 관련없이 타고 나면서 누구나 도덕적 인식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심즉리 ( 心卽理 ) 를 주창하였습니다 .  사람의 마음이 바로 이치라는 의미로 사람의 마음이 우주만물 , 세상의 이치라고 하였습니다 . 이에 사람의 이치를 바르게 이해하고 인식한다면 세상의 이치를 사람의 마음이외 외부에서 찾을 필요가 없다고 하였습니다 . 이에 양명학은 양지 ( 良知 ) 를 주장하고 있습니다 .  양지 ( 良知 ) 는 인간에게 선천적으로 부여된 도덕적 본성과 이를 이해하고 판단하며 선악을 구별하고 실철하는 능력으로 사람은 타고날 때부터 누구나 양지 ( 良知 ) 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 타고난 양지 ( 良知 ) 를 제대로 보존 , 이행하고 양지를 흐리게 하는 마음속 사리사욕을 버리는 치양지를 할 때 성인의 반열에 오른다고 하였습니다 .   2. 치양지 ( 致良知 ) 와 지행합일   양명학 ( 陽明學 ) 은 사람은 선천적으로 타...

Ezra Pound의 모더니즘 시의 세계 탐구: 지하철역에서(In a Station of Metro)

1. Ezra Pound의 시 : 지하철역에서(In a Station of Metro)과 Ezra Pound의 시대를 반추하게 하는 그만의 세계

20세기 모더니즘 시적 세계를 탐구한 대표적인 시인입니다. 그가 추구한 시적 세게는 제1차 세계대전이후 황폐해진 미국사회의 모습을 그리고 고도로 상업화되는 문화세계를 비판하는 입장이었습니다. 이러한 인식하에 Ezra Pound는 그만의 독특한 시적 세계를 탐구하는 여정을 이어갔습니다. 그는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시적 세계가 아닌 현실의 문제를 그대로 언어로 표현하고자 하는 20세기 모더니즘을 추구하는 시인으로 특히 현실을 있는 그대로를 언어로 묘사하는 듯한 이미지즘을 추구하였습니다

이미지즘은 작가인 시인이 그 대상인 사물을 있는 그대로 반영하여 언어를 매개로 하여 마치 영상을 그대로 옮겨두는 듯한 창작기법입니다. 이미지즘에는 미술에서 말하는 오브제(Objet)에 대한 작가의 사고, 관념, 사상, 감정등을 넣지 않고 마치 대상을 있는 그대로 설명하는 듯한 형태로 창작하는 기법입니다

이미지즘이 모더니즘의 하나로 등장한 배경으로 당대 사회가 처한 현실을 비판적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기 때문입니다. 어쩌면 시라고 하는 문학, 예술이 단지 작가의 주관적이고 관념적인 의식의 표현임을 전적으로 거부하는 형태일 수 있습니다

Ezra Pound가 활동하던 시기 당대 미국이 처한 사회적 현실은 비록 제1차대전 승전국이지만 전쟁으로 인한 피폐한 사회가 미국인들의 정신과 생활을 황폐화시키고 더욱이 고도로 발전하는 상업화의 수단으로 전락해가는 문학, 예술들의 현상을 그대로 나타내고자 하였습니다

대중사회로 진입하는 시기 거대한 대중들속 고독과 소외가 일상화되어가는 현실을 시로서 표현하고자 합니다. 이는 Ezra Pound가 바라보는 당대 미국사회에 대한 통렬한 비판의식의 발로입니다.

2. ‘지하철역에서(In a Station of Metro)’의 군중의 존재에 대한 Ezra Pound의 인식

이미지즘의 정수로 대표되는 Ezra Pound의 시 지하철역에서(In a Station of Metro)’는 단2줄로 이루어진 매우 간결한 형태의 시입니다. 그는 단 2줄의 형태로 이루어진 시로서 그가 살았던 미국사회의 한 단면을 정확하게 그려내고 있습니다

그는 시의 첫 행인 군중속 얼굴들의 환영(The Apparition of these faces in the crowd)’에서 일반화되기 시작한 지하철(Metro)에서 오고가는 군중들의 모습을 마치 살아서 숨쉬는 현실의 인간들의 군상이 아닌 영혼과 실물이 존재하지 않는 환영으로 보고 있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환영은 실물이 아닌 실물의 그림자, 영혼이 없이 단지 오고가는 영화속 하나의 투사물에 불과하다고 여기고 있습니다

 Ezra Pound는 수많은 사람들이 오고 가는 지하철에서의 군중이 마치 영혼이 없고 인간이라는 실물이 없는 거대한 환영의 집단이라는 무수한 그림자들이 오고가는 형태로 보고 있습니다. ‘군중속 얼굴들의 환영(The Apparition of these faces in the crowd)’이라는 시적 표현이 바로 작가자신의 사고, 관념, 사상들을 배제한, 있는 그대로의 대상을 언어로 표현한 것입니다

이러한 표현속에서 작가가 의도하는 바는 대중사회의 총아인 지하철에서 오고가는 군중들은 영혼이 없는 다수의 존재라고 하고 있다. 군중속 얼굴들의 환영은 스스로의 자아와 개체로서의 존재를 망각한체 대중속에 숨어 자신을 익명의 존재로 살아가는 현대사회의 대중들을 비판한 것입니다.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한 대중사회의 어두운 면을 비판한 것입니다.

3. 축축하고 검은 나뭇가지 위 꽃잎들(Petals on a wet, black bough)의 의미

Ezra Pound는 일상적으로 오고가는 지하철이라는 공간에서 만나는 수많은 군중들이 마치 영화속 군중속 얼굴들의 환영(The Apparition of these faces in the crowd)’으로 보고 이들이 결국 축축하고 검은 나뭇가지 위 꽃잎들(Petals on a wet, black bough)’에 불과하다고 여기고 있습니다

Ezra Pound가 표현하고자 하는 이미지는 과연 어떠한 형태일 것인가. 그가 보기에 수많은 군중들이 화려하고 열기가 넘치는 존재로서의 군중이 아닌 어딘가 모르게 의기소침하고 스스로의 의지가 부족하여 조금이라도 바람이 불면 그대로 나뭇가지에서 떨어질 것같은 매우 연약한 존재로 보고 있습니다

나뭇가지에 핀 꽃잎은 그 꽃이 피는 시기가 정하여져있는 만큼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스스로 나뭇가지에서 떨어집니다. 그가 지하철을 오고가는 군증들이 지하철을 이용하는 시간만 지나면 각자의 갈길을 가듯이 지하철에서의 군중의 존재는 하나의 곧 떨어질 꽃잎과 유사하다고 본 것입니다

지하철에서 오고가는 존재인 군중은 서로가 서로를 알지 못하고 또한 알려고 하지 않고 시간이 지나면 지하철이라는 영화속 스크린에서 사라지는 영혼의 존재로 이해하고 있을 것입니다. 어쩌면 이러한 발상이 이미지즘의 형태를 차용한 Ezra Pound만의 시적 기교가 아니라 소외되고 개체로서의 존재를 잃어버리고 대중속의 고독이 그대로 드러나는 당대 미국사회의 단면, 대중사회의 어두운 면을 시적 언어로 현실을 그리고 있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