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명학(陽明學), 유교사상의 또다른 흐름

1. 성리학과 다른 유교사상인 양명학(陽明學)
 

양명학(陽明學)은 중국 명나라 학자인 왕수인이 설파한 유교사상입니다. 양명학(陽明學) 이란 명칭이 붙여진 것은 왕수인(王守仁)의 호가 양명이라는 착안하여 붙여진 것입니다. 양명학은 주희가 설파한 성리학에 대비되는 유교사상으로서 중국 명나라, 청나라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으며 성리학 일변도인 조선에도 상당한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양명학은 일본으로 건너가 에도막부시절과 메이지유신에 사상적 기반으로 되었습니다

양명학(陽明學)이 주희의 성리학(性理學)과 대비되는 차이점은 주희가 주창한 격물치지(格物致知)가 우주를 이루는 외부의 만물에 존재하는 근본이치를 탐구하고 이해하여 사물에 대한 완전한 지()의 상태에 이르기 위한 독서와 탐구, 이를 이행하기 위한 끊임없는 도덕적 수행들을 통하여 완전한 지()를 이루는 성인에 이른다고 하는 반면 양명학(陽明學)은 인간은 외부의 사물과 관련없이 타고 나면서 누구나 도덕적 인식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심즉리(心卽理)를 주창하였습니다

사람의 마음이 바로 이치라는 의미로 사람의 마음이 우주만물, 세상의 이치라고 하였습니다. 이에 사람의 이치를 바르게 이해하고 인식한다면 세상의 이치를 사람의 마음이외 외부에서 찾을 필요가 없다고 하였습니다. 이에 양명학은 양지(良知)를 주장하고 있습니다

양지(良知)는 인간에게 선천적으로 부여된 도덕적 본성과 이를 이해하고 판단하며 선악을 구별하고 실철하는 능력으로 사람은 타고날 때부터 누구나 양지(良知)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타고난 양지(良知)를 제대로 보존, 이행하고 양지를 흐리게 하는 마음속 사리사욕을 버리는 치양지를 할 때 성인의 반열에 오른다고 하였습니다.

 

2. 치양지(致良知)와 지행합일

 

양명학(陽明學)은 사람은 선천적으로 타고난 사물의 이치를 알 수 있는 양지(良知)를 제대로 수행하기 위하여 치양지(致良知)를 주장하였습니다. 치양지(致良知)는 사람이 삶을 살아가면서 필요한 세상사의 지식들을 학습하고 이해하는 것을 넘어 사람의 본성인 양지(良知)를 올바르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습니다

우리들이 세상을 살아가면서 항상 부딪치는 물질, 명예, 권력등 세상사의 온갖 유혹들에 마주합니다. 세속적인 욕망에 항상 흔들리기도 하고 이의 유혹에 빠져 자신이 가지는 도덕적, 윤리적 올바름에 대한 판단을 유보하거나 흐리게 하여 이들의 세계에 빠지기도 합니다

물질, 명예, 권력등 세속적 유혹이 영원하지 않듯이 이를 가능하게 하는 시간적, 공간적, 인간적 관계가 변화하는 순간 이러한 존재들이 허망하게 사라지거나 이들에 빠진 자신이나 사람들이 어려움에 처한 것을 경험하거나 주변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이후 이들에 빠진 자신이나 사람들을 바라보면서 이들의 세계에 대한 올바른 판단 즉, 양지(良知)를 하지 못함에 대하여 뒤늦게 알게 됩니다. 양명학(陽明學)에서는 이를 치양지(致良知)하지 못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양명학에서는 치양지(致良知)하기 위한 수행법으로 지행합일을 주창하고 있습니다. 지행합일(知行合一)은 단지 사람의 마음속에 선천적으로 존재하는 도덕적 판단능력인 양지(良知)가 있다고 하여도 이를 일상적으로 실천하지 않으면 양지(良知)에 대한 앎이 흐려진다고 하였습니다. 일상의 삶속에서 양지를 아는 것에 머무르지 않고 실천할 때 진정한 앎이 될 수 있습니다.

행동을 통하여 진정한 앎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이 점에서 유교사상의 대척점에 있는 성리학과 구분됩니다. 앎과 이를 실천하기 위한 행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강조한 반면 세상의 이치를 먼저 탐구를 강조하는 성리학과 구별됩니다.

성리학(性理學)이 이후 추상적이고 공리공론에로 흘러간 것과 달리 양명학(陽明學)은 앎과 행동의 일치를 주창하여 성리학과 달리 추상적이고 공리공론에로 흘러감을 경계하고 있습니다. 간단히는 양명학(陽明學)은 보다 실천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양명학이 주창하는 지행합일(知行合一)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상당한 영향을 주는 경구입니다. 자신의 머릿속에만 존재한 도덕적, 윤리적, 사물의 대한 지식은 그 자체로 의미가 없으며 이를 자신의 행동등으로 실천할 때 가치가 발휘되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현대 과학기술사회를 이룩한 결정적인 존재는 과학기술의 기초인 근본이치들을 탐구하는 기초과학도 중요하지만 이를 바탕으로 하여 현실세계에서 실천하고자 하는 각종 공학이 발달할 때 실현된 점에서 알 수 있습니다. 공학이 발달한 나라들에서 국가와 국민들에게 경제성장, 각종 복지등 커다란 혜택을 가져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양명학(陽明學)이 주창한 지행합일(知行合一)의 현대적 의미이기도 합니다.

 

3. 양명학(陽明學) 의 영향
 

중국에서 태동한 양명학(陽明學)은 주자학일변도인 조선이 아닌 일본에서 커다란 영향을 주었습니다. 일본의 양명학(陽明學)은 중국의 양명학 사상을 그대로 이어받은 것이 아니라 일본이 가지는 고유한 전통과 사상에 맞추어 변형, 융합되었습니다

일본 양명학(陽明學)은 개인의 가치와 존재를 강조한 양명학(陽明學)의 심즉리(心卽理)와 지행합일(知行合一)에 영향을 받아 일본이 오랜기간동안 이어져 온 사무라이를 중심으로 한 봉건제도와 봉건사상에 커다란 의문을 제기하고 이를 변혁하고자 하는 사회운동으로 나아갔습니다.

에도막부 말기시절 봉건제도가 주는 개인의 자유업악과 각종 경제적, 사회적 수탈을 바꾸고자 일본 각지역에서의 농민들이 자신의 권리를 찾고자 하는 농민봉기운동등의 배경으로 작용하였습니다. 농민봉기등 농민운동은 에도막부시대 봉건사상에 젖어있던 일반민중들에게 커다란 영향을 주었으며 향후 막부타도의 커다란 원동력으로 작용합니다

특히 양명학(陽明學)은 일본 근대화의 아버지이지 메이지유신의 정신적 스승으로 불리우는 요시다 쇼인에 영향을 주어 지행합일(知行合一)을 강조한 요시다 쇼인의 사상은 사이고 다카모리등으로 대표되는 그의 제자들이 이후 일본 메이지유신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됩니다

요시다 쇼인은 일본의 전통사상과 양명학을 결합하여 당시 지배계급인 사무라이가 구축한 봉건제도를 타파하는 방법으로 존왕양이(尊王攘夷)를 주창하고 초망굴기(草莽崛起) , 풀뿌리 민중들인 백성들에 의한 국가개혁을 강조하였습니다. 이는 근대국가의 초석인 신분과 무관하게 일반백성, 국민에 의한 국가를 지향하는 배경이 되었으며 에도막부로 대표되는 철저한 신분제를 내용으로 하는 일본 봉건시대의 종말을 가져다 주는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요시다 쇼인은 일본의 전통과 사상을 지키기 위하여 그 당시 일본에 밀려오는 서양세력을 배척하였지만 이들에 대항하기 위하여 서양의 제도와 문물을 수용하여 배워 일본을 부강하게 하여야 한다고 주창하였습니다

요시다 쇼인 스스로 서양신문물을 배우기 위한 노력들을 시도하여 송하촌숙(松下村塾)이라는 사설교육기관을 운영하여 일본의 근대화를 위한 인재를 기르는 노력을 하였으며 이에 교육을 받은 그의 제자들인 이토 히로부미등이 서양의 신문물을 배우기 위하여 영국등으로 유학을 하게 하는 계기를 주었으며 이들이 귀국하여 일본근대화의 주역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