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명학(陽明學), 유교사상의 또다른 흐름

1. 성리학과 다른 유교사상인 양명학 ( 陽明學 )   양명학 ( 陽明學 ) 은 중국 명나라 학자인 왕수인이 설파한 유교사상입니다 . 양명학 ( 陽明學 ) 이란 명칭이 붙여진 것은 왕수인 ( 王守仁 ) 의 호가 양명이라는 착안하여 붙여진 것입니다 . 양명학은 주희가 설파한 성리학에 대비되는 유교사상으로서 중국 명나라 , 청나라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으며 성리학 일변도인 조선에도 상당한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양명학은 일본으로 건너가 에도막부시절과 메이지유신에 사상적 기반으로 되었습니다 .  양명학 ( 陽明學 ) 이 주희의 성리학 ( 性理學 ) 과 대비되는 차이점은 주희가 주창한 격물치지 ( 格物致知 ) 가 우주를 이루는 외부의 만물에 존재하는 근본이치를 탐구하고 이해하여 사물에 대한 완전한 지 ( 知 ) 의 상태에 이르기 위한 독서와 탐구 , 이를 이행하기 위한 끊임없는 도덕적 수행들을 통하여 완전한 지 ( 知 ) 를 이루는 성인에 이른다고 하는 반면 양명학 ( 陽明學 ) 은 인간은 외부의 사물과 관련없이 타고 나면서 누구나 도덕적 인식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심즉리 ( 心卽理 ) 를 주창하였습니다 .  사람의 마음이 바로 이치라는 의미로 사람의 마음이 우주만물 , 세상의 이치라고 하였습니다 . 이에 사람의 이치를 바르게 이해하고 인식한다면 세상의 이치를 사람의 마음이외 외부에서 찾을 필요가 없다고 하였습니다 . 이에 양명학은 양지 ( 良知 ) 를 주장하고 있습니다 .  양지 ( 良知 ) 는 인간에게 선천적으로 부여된 도덕적 본성과 이를 이해하고 판단하며 선악을 구별하고 실철하는 능력으로 사람은 타고날 때부터 누구나 양지 ( 良知 ) 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 타고난 양지 ( 良知 ) 를 제대로 보존 , 이행하고 양지를 흐리게 하는 마음속 사리사욕을 버리는 치양지를 할 때 성인의 반열에 오른다고 하였습니다 .   2. 치양지 ( 致良知 ) 와 지행합일   양명학 ( 陽明學 ) 은 사람은 선천적으로 타...

박인환의 ‘목마와 숙녀와 버지니아 울프(Virginia Woolf)

 

 1. 목마와 숙녀에 비쳐진 와 1950년대 한국사회와 박인환의 내면세계

박인환의 목마와 숙녀는 잘 알려져 있다시피 1950년대 후반 한국전쟁으로 피폐한 시대를 살아온 시인으로 시대의 아픔을 그대로 노래한 명시입니다. 한국전쟁이 가져온 황폐해진 한국사회의 일상을 살아온 시인으로서 가지는 허무함과 고독감, 지식인으로서 어떠한 사회적 역할을 할 수 없다는 점을 각인하고 있는 지극히 패배주의적 감정을 그대로 녹아있는 시입니다

시인이 가지는 감정을 그대로 녹여내는 싯구로 한잔의 술을 마시고 우리는 Virginia Woolf의 생애와 목마를 타고 떠난 숙녀의 옷자락을 이야기한다에서 1950년대 전쟁으로 피폐한 한국사회와 더불어 피폐해진 지식인으로서의 내면의 세계가 바로 자신이 동경하여온 버지니아 울프를 그대로 오버랩하여 고독과 허무함, 시대로부터 버림받은 듯한 감정이 Virginia Woolf를 통하여 표출하고자 하였습니다

 Virginia Woolf는 영국에서 활동한 20세기 모더니즘문학의 거장으로 인간이 가지는 내면세계를 따라 서술하고 현실과 의식의 흐름을 나타내는 시인으로 알려져 있다. Virginia Woolf는 여성으로서의 독자성과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내면의 세계 또한 드러내고자 하였습니다

 Virginia Woolf는 그녀가 살아온 영국사회의 불합리한 요구들에 저항하는 의식을 가졌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그녀가 겪은 좌절감과 허무감, 무기력함에 절망하기도 하였다. 이는 그녀가 평생 고통받아온 병마와 싸워온 점에 비롯하였다고 할 수 있지만 그녀가 가진 사회적 의식으로 인한 고통도 상당하였으리라

Virginia Woolf가 받은 시대가 주는 엄청난 사회적 장벽으로 인한 좌절, 허무함, 무기력함에 박인환은 자신이 살아가는 1950년 한국전쟁이 남긴 사회적 현상에 절망하고 어디에도 기댈곳 없는 고독과 무기력함이 바로 Virginia Woolf의 생애와 매우 유사하다고 느꼈을 것이다. 바로 박인환자신이 가지는 감정이 시공을 초월하여 Virginia Woolf에로 감정이 몰입된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하여 한잔의 술을 마시고 술잔속에 드리운 진한 Virginia Woolf의 그림자를 그의 내면에서 떠올랐을 것이다. 어찌도 그리 자신이 가진 시대적 감정이 Virginia Woolf의 감정과 닮았을 것인가에 대하여 스스로 놀랐을 것이다. 그리하여 현실에서 정착하지 못하고 하늘에서 떠돌아다니는 목마는 주인을 버리고 거저 방울소리만 물리며 가을 속으로 떠났으리라. 주인을 버리고 떠나가는 목마를 붙잡지 못하고 단지 허무하게 바라만 보아야 하는 자신이 떠나가는 목마의 주인인양 그 자신의 허무함과 무기력함을 그대로 이야기하고 있다. 

2. 한잔의 술과 박인환의 의식의 흐름

단지 그가 할 수 있는 일은 한잔의 술을 마시는 것이리라. 그러나 그가 단지 할 수 있는 한잔의 술에도 하늘의 별이 떨어지고 그가 마시는 한잔의 술잔에 떨어지는 별또한 시인과 같이 상심하여 무기력한 시인의 가슴에 박히고 시인은 이제 아무것도 생각할 수 없다고 토로한다. 이 얼마나 무기력함과 허무함의 조화인가

자기가 할 수 있는 일이 한잔의 술을 마시는 것이지만 이마저 자신의 가슴에 박히는 비수와도 같은 무기력함이리라. 1950년대 한국사회에서 별로 기뻐할 일이 별로 없음에 시인은 마침내 나는 슬픈 것이 좋다라고 자학적인 내면을 토로하고 있다. 한잔의 술을 마시며 내려다 보는 바깥 풍경에 비추는 거리는 왜 이리 존재하는가. 무엇을 바라기에 거리는 그대로 있는가라고

거리에 나홀로 지키고 있는 가로등이 쓸쓸히 밤을 비추고 여전히 날아간 파랑새모양 목마는 하늘을 달린다. 이는 바로 시인의 내면에서 그려지는 풍경이 아무도 없는 거리에 나홀로 거리를 지키는 가로등으로 나자신이 그러한 형태이라고 시인은 자신을 들여다보고 있다. 박인환이 일면식도 없는 스스로 어려운 시대를 살아온 Virginia Woolf도 자신과 비슷한 내면의 세계를 가지고 그대로 토로할 것이라고 시인은 스스로 위안아닌 위안을 삼고 있는 것같다

그리하여 시인은 Virginia Woolf를 사랑하고 그녀의 생애를 사랑한다고 고백하고 있다. 바로 자신에게 버지니아 울프의 감정이 오버랩된 것으로 여겨진다. 1950년대 후반의 한국사회에서 어떠한 것도 유의미한 일을 할 수 없는 시인이 단지 할 수 있는 한잔의 술을 마시는 것조차 그의 술잔에 상심한 별이 그의 술잔에 떨어지고 이를 바라보는 그 또한 상심한 별과 같이 시인도 상심하여 그 어떠한 것도 할 수 없음에 그 어떠한 것도 생각할 수 없다라고 시인은 절망하고 있다.

박인환의 내면에 흐르는 감정은 바로 Virginia Woolf의 감정과 같음을 스스로 느끼고 자신이 바로 그녀와 동일시하여 이를 무기력하게 나타내고 있다. 시인은 이를 알고 있었는가. Virginia Woolf의 생애 마지막이 아름답지 못한 것과 같이 시인의 생애도 그러한 것을.  

함께 보면 좋은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