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명학(陽明學), 유교사상의 또다른 흐름

1. 성리학과 다른 유교사상인 양명학 ( 陽明學 )   양명학 ( 陽明學 ) 은 중국 명나라 학자인 왕수인이 설파한 유교사상입니다 . 양명학 ( 陽明學 ) 이란 명칭이 붙여진 것은 왕수인 ( 王守仁 ) 의 호가 양명이라는 착안하여 붙여진 것입니다 . 양명학은 주희가 설파한 성리학에 대비되는 유교사상으로서 중국 명나라 , 청나라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으며 성리학 일변도인 조선에도 상당한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양명학은 일본으로 건너가 에도막부시절과 메이지유신에 사상적 기반으로 되었습니다 .  양명학 ( 陽明學 ) 이 주희의 성리학 ( 性理學 ) 과 대비되는 차이점은 주희가 주창한 격물치지 ( 格物致知 ) 가 우주를 이루는 외부의 만물에 존재하는 근본이치를 탐구하고 이해하여 사물에 대한 완전한 지 ( 知 ) 의 상태에 이르기 위한 독서와 탐구 , 이를 이행하기 위한 끊임없는 도덕적 수행들을 통하여 완전한 지 ( 知 ) 를 이루는 성인에 이른다고 하는 반면 양명학 ( 陽明學 ) 은 인간은 외부의 사물과 관련없이 타고 나면서 누구나 도덕적 인식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심즉리 ( 心卽理 ) 를 주창하였습니다 .  사람의 마음이 바로 이치라는 의미로 사람의 마음이 우주만물 , 세상의 이치라고 하였습니다 . 이에 사람의 이치를 바르게 이해하고 인식한다면 세상의 이치를 사람의 마음이외 외부에서 찾을 필요가 없다고 하였습니다 . 이에 양명학은 양지 ( 良知 ) 를 주장하고 있습니다 .  양지 ( 良知 ) 는 인간에게 선천적으로 부여된 도덕적 본성과 이를 이해하고 판단하며 선악을 구별하고 실철하는 능력으로 사람은 타고날 때부터 누구나 양지 ( 良知 ) 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 타고난 양지 ( 良知 ) 를 제대로 보존 , 이행하고 양지를 흐리게 하는 마음속 사리사욕을 버리는 치양지를 할 때 성인의 반열에 오른다고 하였습니다 .   2. 치양지 ( 致良知 ) 와 지행합일   양명학 ( 陽明學 ) 은 사람은 선천적으로 타...

주자학(朱子學)의 태두 주희(朱熹)의 이기론(理氣論), 격물치지(格物致知)와 현대과학기술

  1.  주자학 ( 朱子學 ) 의 태두 주희 ( 朱熹 ) 의 세계관   주자학 ( 朱子學 ) 의 태두 주희 ( 朱熹 ) 는 중국 남송시대의 학자로 공자와 맹자로부터 이어져 온 유교의 이론적 틀을 자신의 관점에서 완성하여 주자라고 불리웁니다 . 주희가 설정한 성리학은 이후 중국에서 국학으로 공인된 이후 중국의 명나라 , 청나라만이 아니라 이웃한 조선과 일본등에서 커다란 영향을 미쳐 유교를 곧 성리학인 주자학으로 일컬을 정도로 중국을 포함한 동아시아의 사상계를 지배하였습니다 .  주희가 설정한 성리학 ( 朱子學 ) 은 공자와 맹자이래 세상을 형성하고 움직이게 하는 도덕 , 윤리적 가치라는 유교이념에 우주론적 , 철학적 토대를 제공하여 유교의 관념론적 세계관을 형성하였습니다 . 주희 ( 朱熹 ) 는 세상의 만물을 움직이게 하는 근본원리로 이기론 ( 理氣論 )을  주장하였습니다 . 이기론( 理氣論 )에서  이는 만물을 움직이게 하는 근본원리로 이는 모든 사물에 근원적으로 내재하며 그 원리는 동일하다고 하였습니다 . 기는 만물의 근본원리인 이에 기초하여 만물을 형성하고 각자의 존재와 쓰임에 따라 달리하는 일종의 재료와 같은 존재로 이해하였습니다 .  주희는 이와 기의 요소로 만물이 태동하고 작동하는 원리를 설명하였습니다 . 이과 기는 상호 분리될 수 없는 존재로 상호작용하는 형태로 보았지만 이와 기는 그 역할이 다르기 때문에 이와 기는 상호 혼합될 수 없다고 보았습니다 . 주희가 설파한 이기론 ( 理氣論 ) 은 이웃한 조선에 커다란 영향을 주어 조선유학자들의 사상형성과 행동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습니다 . 조선후기 주희의 이기론 ( 理氣論 ) 에 기하여 이 ( 理 ) 에 보다 치중하는 주리론 ( 主理論 ) 과 기 ( 氣 ) 에 치중하는 주기론 ( 主氣論 ) 으로 양분되어 조선시대의 사상계에 커다란 논쟁과 이를 현실에서 유교이념을 실현하고자 하는 유교지식인과 현실정책입안자들간 커다란 분쟁과 당쟁등이 초래되었습...

장자(莊子)의 호접몽(胡蝶夢)이 현대인에게 던지는 메시지

  1. 중국 전국시대에서의 장자 ( 莊子 ) 의 세계관   장자 ( 莊子 ) 는 노자와 더불어 도가사상 ( 道家思想 ) 의 쌍두마차에 해당하는 인물입니다 . 도가사상을 노장사상이라고도 합니다 . 우리들에게 익숙한 장자사상의 정수는 무위자연 ( 無爲自然 ) 입니다 .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도 매우 익숙한 용어이기도 한 무위자연 ( 無爲自然 ) 은 모든 인위적인 것을 배격하고 자연의 흐름에 따라 물흐르듯 유연하게 삶을 영위하라는 의미입니다 .  중국 전국시대의 사상인기도 한 장자 ( 莊子 ) 는 세상의 이치가 이러한데 사람들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삶의 모든 요소들을 인위적인 형태 , 제도 , 규제등을 행한다고 하여도 세상의 질서가 이루어지지 않고 오히려 이러한 요소들이 사람이 살아가는데 자연스레 형성되는 질서를 파괴한다고 하였습니다 .  이러한 관점에서 장자 ( 莊子 ) 는 중국전국시대의 또다른 태두인 유가에서 주장하는 세상의 질서는 사람사이의 도덕이나 윤리를 세움으로서 형성되다고 하는 유가사상과 사람은 근본적으로 악한 존재이므로 도덕이나 윤리만으로 세상질서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국가의 강력한 통치력을 바탕으로 법률로서 다스려야 한다는 법가사상을 전적으로 배격하고 있습니다 .  사람이 자연속에서 살아가는 존재라면 자연이 주는 자연의 이치와 흐름에 따라 살아가는 것이 올바른 방향이라고 하였습니다 . 이에 장자가 말하는 무위자연 ( 無爲自然 ) 은 자연속에서 어떠한 행동도 하지 말라는 의미가 아니라 변화무상한 자연의 흐름속에서 자연에 맞서지 말고 자연이 주는 이치나 흐름에 따라 유연하게 살아가라는 의미입니다 .  장자의  ( 無爲自然 )  주는 의미는 현대인에게도 사려깊은 메시지를 제시합니다 . 컴퓨터시대를 넘어 로봇이 안간의 물리적인 노동을 대신하고 AI 시대에서 인간의 정신적인 영역에 들어오는 시대에 자신의 노동력과 자신만의 사고력을 맹신하여 시대의 흐름인 로봇과 AI 가 주는 각종 이점들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