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명학(陽明學), 유교사상의 또다른 흐름

1. 성리학과 다른 유교사상인 양명학 ( 陽明學 )   양명학 ( 陽明學 ) 은 중국 명나라 학자인 왕수인이 설파한 유교사상입니다 . 양명학 ( 陽明學 ) 이란 명칭이 붙여진 것은 왕수인 ( 王守仁 ) 의 호가 양명이라는 착안하여 붙여진 것입니다 . 양명학은 주희가 설파한 성리학에 대비되는 유교사상으로서 중국 명나라 , 청나라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으며 성리학 일변도인 조선에도 상당한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양명학은 일본으로 건너가 에도막부시절과 메이지유신에 사상적 기반으로 되었습니다 .  양명학 ( 陽明學 ) 이 주희의 성리학 ( 性理學 ) 과 대비되는 차이점은 주희가 주창한 격물치지 ( 格物致知 ) 가 우주를 이루는 외부의 만물에 존재하는 근본이치를 탐구하고 이해하여 사물에 대한 완전한 지 ( 知 ) 의 상태에 이르기 위한 독서와 탐구 , 이를 이행하기 위한 끊임없는 도덕적 수행들을 통하여 완전한 지 ( 知 ) 를 이루는 성인에 이른다고 하는 반면 양명학 ( 陽明學 ) 은 인간은 외부의 사물과 관련없이 타고 나면서 누구나 도덕적 인식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심즉리 ( 心卽理 ) 를 주창하였습니다 .  사람의 마음이 바로 이치라는 의미로 사람의 마음이 우주만물 , 세상의 이치라고 하였습니다 . 이에 사람의 이치를 바르게 이해하고 인식한다면 세상의 이치를 사람의 마음이외 외부에서 찾을 필요가 없다고 하였습니다 . 이에 양명학은 양지 ( 良知 ) 를 주장하고 있습니다 .  양지 ( 良知 ) 는 인간에게 선천적으로 부여된 도덕적 본성과 이를 이해하고 판단하며 선악을 구별하고 실철하는 능력으로 사람은 타고날 때부터 누구나 양지 ( 良知 ) 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 타고난 양지 ( 良知 ) 를 제대로 보존 , 이행하고 양지를 흐리게 하는 마음속 사리사욕을 버리는 치양지를 할 때 성인의 반열에 오른다고 하였습니다 .   2. 치양지 ( 致良知 ) 와 지행합일   양명학 ( 陽明學 ) 은 사람은 선천적으로 타...

서정주의 화사집(花蛇集)에 나타난 보들레르(Charles Baudelaire)의 상징주의

 1. 19세기 문예사조로서의 상징주의(Symbolism)


상징주의(Symbolism)19세기후반 프랑스를 중심으로 등장한 문예사조로서 당시 진행되던 산업화와 도시화라는 시대적 배경으로 하고 있습니다. 상징주의(Symbolism)는 산업화와 도시화로 등장하는 비인간적인 시대상에서 벗어나 인간이 자신만이 간직한 내면의 세계에 천착하려는 일종의 도피성 사조이기도 합니다

상징주의는 현실보다 내면의 세계에 비쳐지는 상징, 감정, 추상적인 세계에 천착하려는 사조입니다. 상징주의에서는 현실의 사물을 있는 그대로 묘사하는 것이 아닌 사물에 대한 자신의 내면에서 보여지는 암시, 은유, 이미지, 비유들을 추구하며 각개인마다 동일한 사물에 대한 의미를 각자 추구하는 것으로 의미는 다양하게 존재하게 됩니다

상징주의에서는 현실과 동떨어진 세계를 추구하며 자신만이 가지는 환상적인 세계, 자신만의 독특한 세계에 집착하게 됩니다. 대표적인 예가 샤를 보들레르(Charles Baudelaire)의 악의 꽃(Les Fleure du Mal)에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보들레르는 기존의 문예사조인 낭만주의를 배격하고 오로지 자신만이 가지는 내면의 세계에 집착하고 있습니다. 악의 꽃에서 보들레느(Baudelaire)는 일반인들이 배척하고 멀리하는 악에서 아름다움을 찾아가는 그만의 여정을 그리고 있습니다

이는 산업화와 도시화로 나타난 당시 프랑스사회의 어둡고 추한 면을 외면하지 않고 그속에서 아름다움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무수한 익명의 존재인 군중들, 도시화가 주는 어두운 단면인 부랑아등, 도시의 뒷골목의 각종 퇴폐적인 풍경들에 이를 배척하지 않고 하나의 아름다움으로 승화하여 인간존재가 가지는 원초적인 욕망, 관능등을 비유적, 상징적으로 표현하여 이를 이해하려고 하였습니다

일부평론가들이 보들레르(Baudelaire)를 악의 화신으로, 퇴폐를 추구하는 존재로 이해하고 있으나 그가 추구한 본질은 인간이 가지는 욕망, 관능, 퇴폐등을 찬미하는 것이 아니라 산업화, 도시화에 따른 부정적인 사회적 단면을 부정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를 받아들여 그 속에서 인간의 본질을 바라보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삶의 주류에서 밀려난 자들이 가지는 소외,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몸부림에서 어쩔수 다가오는 가난, 소외, 좌절을 그리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예사조의 흐름은 산업화와 도시화가 진행될수록 당시 프랑스시인들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으며 유럽의 다른 나라들과 동아시아의 일본과 한국에도 영향을 주었습니다.

 

2. 서정주의 화사집(花蛇集)에 나타난 상징주의

 

한국의 대표적인 시인인 서정주가 발표한 화사집(花蛇集)은 그의 시세계를 아주 잘 나타내고 있습니다. 화사 즉, 꽃뱀(Flower snake)으로 등장하는 존재는 자신의 의지와 무관하게 태어난 존재인 화사가 가지는 본능적인 한계를 그리고 있습니다

(Flower snake) 대표되는 존재는 단순히 일반인들에게 불결하고 피하여할 존재이지만 나름대로 아름다움을 지닌 존재로 보아 화사로 표현되는 인간이 가지는 원초적인 본능, 이에 대한 내면의 죄의식, 아름답지만 퇴폐적인 면을 그대로 그리고 있습니다

서정주의 화사집(花蛇集)에서 (Flower snake) 존재를 아름다운 배암......얼마나 크다란 슬픔으로 태어났기에라는 싯구는 화사가 그 외면이 형형색색의 아름다움으로 치장을 하고 있지만 그 본질은 사람들이 회피하는 존재인 배암(snake)으로 결국 얼마나 크다란 슬픔을 가지기에 그리도 태어나것인가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보기에 아름답지만 내면은 결코 아름답지 못한 인간사회의 퇴페성, 관능적인 욕망이 바로 작가가 보기에 화사와 같다고 한 것이 아닐까요. 서정주의 내면세계에서 그가 살아가는 현실세계에서의 인간군상들이 나타내는 사회의 어두움을 배암이라는 존재로 보고 있습니다. 그가 살고 있는 당대 식민지시절의 한국사회의 한 단면과 그가 가지는 지식으로서의 외형은 아름답지만 내면적으로 시인의 방황, 흔들리는 내면세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3. 상징주의에서 바라본 보들레르(Baudelaire)와 서정주의 시세계

 

서정주의 (Flower snake) 보여주는 배암(snake)은 마치 보들레르(Baudelaire)의 악의 꽃(Les Fleure du Mal)에서 보여지는 꽃과 연상됩니다. 꽃은 외형적으로 아름다운 존재이지만 인간군상들에서 보여지는 꽃은 그 자체 아름다운 존재가 아니라 불결하고 더러우며 퇴폐적인 존재라는 점에서 서정주의 화사에서의 배암과 의미와 이미지가 매칭이 됩니다

보들레르가 살고 있던 당시 프랑스사회가 산업화와 도시화로 외형적으로 발달하고 편리하며 삶이 윤택해지는 아름다운 사회라고 하여도 그 이면에 존재하는 퇴폐적이고 소외된 인간군상들이 존재하는 것과 같이 서정주가 살고 있던 한국의 식민지시절 서서히, 그리고 미약하지만 진행되고 있는 산업화와 도시화의 이면속에 가려진 사회의 어두운 면을 배암이라는 토속적인 소재로서 표현하고 있습니다.

프랑스와 한국이라는 공간을 초월한 동병상련이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점에서 보들레르(Baudelaire)와 서정주는 공간을 달리하지만 시대적 의미에서 공감을 같이 하는 존재로 일 수 있습니다. 안타깝게도 일부 비평가들은 보들레르(Baudelaire)를 악의 화신으로 여겨 대단히 부정적으로 존재로 묘사하고 있지만 한국의 서정주는 당대 상징주의를 대표하는 시인으로 여기고 있습니다

물론 보들레르(Baudelaire)가 그의 시에서 차용하는 언어로 대표되는 의미와 이미지가 부정적인 형태로 그려지고 있지만 서정주가 화사집에서 그리는 지극히 한국의 토속적인 존재인 화사 즉, 꽃뱀(Flower snake)을 모티브로 하는 점에서 다르지만 보들레르와 서정주가 그리고자 하는 본질은 동일할 수 있습니다

단지 보들레르는 그가 살았던 19세기 프랑스사회라는 시공간과 서정주가 살았던 시공간에서 접한 사회의 단면들이 달랐을 뿐입니다. 보들레르(Baudelaire)도 서정주도 그들이 살았던 시대에서의 사회에 대하여 그들의 내면세계에서 고민과 좌절을 겪고 있었음에 틀림없습니다

그들 또한 그들이 살았던 시대가 가지는 어두운 면을 그대로 지나치지 않고 비록 소극적이나마 올바른 사회에 대한 갈망을 추구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그들의 힘으로 그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사회를 변화시키지 못하는 지식인으로서의 한계를 악이라는 존재를 통하여 좌절감을 우회적으로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들의 문제의식은 21세기 과학문명이 고도로 발달하고 인류이래로 풍족한 삶을 누리는 현대사회에서도 의미가 있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