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명학(陽明學), 유교사상의 또다른 흐름

1. 성리학과 다른 유교사상인 양명학 ( 陽明學 )   양명학 ( 陽明學 ) 은 중국 명나라 학자인 왕수인이 설파한 유교사상입니다 . 양명학 ( 陽明學 ) 이란 명칭이 붙여진 것은 왕수인 ( 王守仁 ) 의 호가 양명이라는 착안하여 붙여진 것입니다 . 양명학은 주희가 설파한 성리학에 대비되는 유교사상으로서 중국 명나라 , 청나라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으며 성리학 일변도인 조선에도 상당한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양명학은 일본으로 건너가 에도막부시절과 메이지유신에 사상적 기반으로 되었습니다 .  양명학 ( 陽明學 ) 이 주희의 성리학 ( 性理學 ) 과 대비되는 차이점은 주희가 주창한 격물치지 ( 格物致知 ) 가 우주를 이루는 외부의 만물에 존재하는 근본이치를 탐구하고 이해하여 사물에 대한 완전한 지 ( 知 ) 의 상태에 이르기 위한 독서와 탐구 , 이를 이행하기 위한 끊임없는 도덕적 수행들을 통하여 완전한 지 ( 知 ) 를 이루는 성인에 이른다고 하는 반면 양명학 ( 陽明學 ) 은 인간은 외부의 사물과 관련없이 타고 나면서 누구나 도덕적 인식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심즉리 ( 心卽理 ) 를 주창하였습니다 .  사람의 마음이 바로 이치라는 의미로 사람의 마음이 우주만물 , 세상의 이치라고 하였습니다 . 이에 사람의 이치를 바르게 이해하고 인식한다면 세상의 이치를 사람의 마음이외 외부에서 찾을 필요가 없다고 하였습니다 . 이에 양명학은 양지 ( 良知 ) 를 주장하고 있습니다 .  양지 ( 良知 ) 는 인간에게 선천적으로 부여된 도덕적 본성과 이를 이해하고 판단하며 선악을 구별하고 실철하는 능력으로 사람은 타고날 때부터 누구나 양지 ( 良知 ) 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 타고난 양지 ( 良知 ) 를 제대로 보존 , 이행하고 양지를 흐리게 하는 마음속 사리사욕을 버리는 치양지를 할 때 성인의 반열에 오른다고 하였습니다 .   2. 치양지 ( 致良知 ) 와 지행합일   양명학 ( 陽明學 ) 은 사람은 선천적으로 타...

사자와 쥐 : 이솝우화가 전하는 삶의 지혜

이솝우화는 고대 그리스시대 이야기꾼인 이솝이 설파한 우화로서 현대인들에게도 여전히 삶의 지혜로서 이해될 수 있습니다. 그중 사자와 쥐이야기는 아무리 하찮은 존재라도 언제가 자신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우화아닌 우화로서 보여주고 있습니다. 

1. 사자와 쥐의 이야기 

사자가 하루는 자신의 우리에서 신나게 낮잠을 자고 있는데 난데없이 조그마한 쥐가 사자우리로 들어와 낮잠을 자고 있는 사자근처에서 놀다가 하필이면 사자 코를 건들여 사자가 잠에서 깨었습니다. 한여름 노곤하여 낮잠을 즐기고 있던 사자가 갑자기 잠에서 깨자 이에 사자가 화가 나 주위를 둘러보니 자기를 깨운 것이 조그마한 쥐라는 것을 알고 화를 내었습니다

쥐가 사자자신보다 덩치가 작고 힘이 없어 보이자 쥐를 괴롭히려고 쥐에게 다가 갔습니다. 이에 겁이 난 쥐가 사자에게 머리를 조아리고 무릎을 꿇면서 사자에게 자신이 잘못하여 잠자는 사자를 깨어 잠을 자는 것을 방해한 것이라고 하면서 용서를 빌었습니다. 이번 한번만 용서하여주면 언젠가 자신이 사자의 은혜를 갚을 것을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사자가 자신보다 작은 쥐가 자신이 잘못을 인정하여 한번만 살려달라고 빌자 웃기기도 하고 불쌍하기도 하여 쥐를 용서해주었습니다. 어느듯 세월이 흘러갔습니다

하루는 사자가 길을 가다가 사냥꾼이 놓은 덫에 걸려 오도가도 못하는 신세가 되었습니다. 덫에 걸린 사자는 발버둥을 치며 덫에서 벗어날려고 하였습니다. 사자는 더욱더 큰소리로 울부짓었습니다. 이에 사자가 큰소리로 울부짖자 이를 들은 근처에 사는 쥐가 달려와 자초지종을 알아 보았습니다. 사자가 스스로 헤어나올수 없는 덫에 걸려 있는 것을 보자 쥐는 자신의 날카로운 이빨로 덫을 갉아서 끊기 시작하였습니다. 이윽고 얼마의 시간이 지나 사자를 옥줴고 있던 덫이 끊어지고 사자는 무사히 덫에서 풀려 나올수 있었습니다. 이에 사자는 진심으로 쥐에게 자신의 어려움을 해결해주어 고맙다고 인사를 하였습니다. 

2. 사자와 쥐의 이갸기가 주는 삶의 지혜

 사자와 쥐는 덩치면이나 동물세계에서 전투력이나 도저히 상대가 되지 않는 존재입니다. 사자는 사자로서의 생활영역이 있고 쥐는 쥐나름대로 생활영역이 존재합니다. 그러나 동물세계에서도 서로의 존재영역이 있지만 상호 교차되는 영역이 있기 마련입니다. 상호교차되는 영역에서 마주하는 경우 덩치가 크고 힘이 센 사자는 쥐에 대하여 얕보고 업신여기게 됩니다. 반면 쥐는 자신보다 우월한 존재에 대하여 본능적으로 겁이 나고 위축됩니다. 이는 인간세계에서도 같은 의미를 가집니다

외형적으로 인간은 서로가 평등하고 독립된 존재로 보이지만 서로가 어울리는 사회생활에서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으로 우열이 존재하기 마련입니다. 소위 타인에 대하여 우월한 지위에 있는 강자는 자신보다 열세에 있는 사람에 대하여 우월감을 가지고 약자에 대하여 업신여기거나 함부로 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사회생활을 하다보면 사회적으로 우월한 지위에 있는 강자가 약자에 대하여 함부로 대하다가 어떠한 상황에서는 스스로 어려움에 처하는 순간이 있습니다

마치 사자가 사냥꾼이 놓은 덫에 걸려 어찌할바를 모를 경우가 있는 것과 같습니다. 사자가 스스로 덫에서 헤어나오지 못하지만 약자인 쥐에 의하여 사소하지만 사자에게는 목숨을 구할 수 있는 도움을 주어 덫에서 빠져나오듯 강자가 약자들의 도움을 받아 어려움에서 헤쳐 나오는 순간이 있습니다

사회생활에서는 서로가 서로를 도와가며 살아가는 영역입니다. 자신이 일정한 지위에 있어 강자가 된 경우 자신보다 열등한 지위에 있는 약자들을 함부로 대하다가 자신이 어려움이 처할 때 어떠한 누구도 도와주지 않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습니다. 반대로 자신이 다른 사람에 대하여 어떠한 우월한 지위에 있을 때 약자들을 도와주는 경우 강자인 자신이 어떠한 어려움에 처할 때 자신이 도와주었던 약자인 사람들이 도와주어 어려움에서 헤쳐나오는 것을 보기도 합니다. 이러한 간단하고 평범한 진리를 이솝은 사자와 쥐의 이야기에서 설파하고 있습니다. 

3. 이솝우화가 현대인에게 주는 의미

 이는 중국 전국시대 제나라 재상인 맹상군의 일화와도 상통합니다. 맹상군이 이웃인 진나라로 초대받아 갔지만 진나라 신하들의 모함을 받아 감금될 처지에 놓이자 평소 그가 도와주었던 식객들의 도움을 받아 무사히 자기나라로 돌아온 사례입니다. 이때 맹상군을 도와준 식객은 닭울음소리를 잘 내는 하찮은 재주를 가진 식객이었지만 식객이 닭울음소리덕에 어려움을 헤쳐나왔습니다. 이러한 사례는 우리가 살아가는 현대에서도 종종 볼 수 있는 사례이기도 합니다

인간은 누구나 스스로가 가지는 장점들은 가지고 있습니다. 그것이 비록 하찮은 것이라고 하여도 이를 가벼이 볼 것이 아닙니다. 자신이 가진 것에 비하여 경제적으로 열위에 있다고 하여도 언젠가는 이도 유용하게 쓰일 때가 있다는 의미입니다. 우리 속담에 우수마발(소똥등)도 약에 쓸려면 없다는 것과도 유사합니다

이세상에 불필요한 것은 없습니다. 이솝이 전하는 고대 그리스시대의 이야기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잔잔하지만 결코 가볍지 않은 무게로 삶의 지혜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살아가면서 자신보다 열악한 지위에 있는 사람들을 함부로 대하지 않고 이들을 자신이 할 수 있는 대로 도와주는 경우 언제가 자신도 도움을 받을 것이라는 것입니다. 인간사회는 서로가 서로를 도와주며 살아가는 세상입니다.